AWS로 서버 이전시 인프라 구성도
이 구성은 기존의 코로케이션 서버를 이전하여 구축한 형태로 보다 안정적인 운영 환경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보안성과 신뢰성이 높은 인프라를 유지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소로 사용량에 따라 비용이 책정되는 객체 스토리지(S3)와 같은 추가적인 스토리지 서비스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하는 과정
대형 웹사이트가 아니라 중소규모의 웹사이트를 운영할 경우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웹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하고 트래픽 증가와 함께 서버 운영 규모가 커지면 데이터 센터 내의 공간을 임대하여 직접 서버를 배치하는 코로케이션 서비스를 활용하게 되는데 아래는 코로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던 환경을 AWS 클라우드로 이전했을 때의 기본적인 인프라 구성도를 설명합니다.

CloudFront는 소규모 웹사이트 운영 시 필수적인 서비스는 아니지만 그러나 EC2를 이용할 경우 발생하는 트래픽 비용을 절감하는 데 유용하고 일반적으로 EC2에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면 트래픽 요금이 부과되지만 CloudFront를 사용하면 EC2의 트래픽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CloudFront의 요금만 부담하면 되므로 비용 효율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RDB) 선택과 관련하여 AWS 환경에서는 Amazon Aurora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 한데요 오로라는 AWS에서 자체적으로 최적화한 MySQL 호환 데이터베이스로 MySQL 또는 MariaDB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AWS 인프라에 최적화된 성능과 확장성을 갖추고 있어 AWS를 활용하는 경우 높은 가용성과 성능을 고려하여 Aurora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EC2는 라이트세일 서버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높은 네트워크 성능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사양과 설정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다는 장점이 있으며 트래픽이 많거나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경우 EC2의 유연한 확장성과 고성능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소규모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경우 비용 대비 성능을 고려했을 때 반드시 EC2를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라이트세일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도 안정적인 서버 환경을 제공하므로 소규모 프로젝트나 기본적인 웹사이트 운영에는 충분히 적합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라이트세일은 AWS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가상 서버 서비스로 복잡한 설정 없이 간편하게 웹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으며 월 정액제로 예측 가능한 비용 구조를 제공합니다.
중규모 이상의 대형 웹사이트가 아닌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웹사이트의 경우에는 반드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를 별도로 분리하여 운영할 필요는 없고 오히려 한 대의 서버에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함께 두는 방식이 유지 관리가 간편하며 네트워크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성능 측면에서도 유리할 수 있습니다.
여러 대의 서버로 분산하여 운영하는 경우에는 설정과 관리가 복잡해지고 구성 오류로 인해 장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단일 서버에서 스펙을 업그레이드(스케일업)하는 방식은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트래픽이 많지 않은 소규모 웹사이트라면 여러 대의 서버로 나누기보다는 서버의 성능을 높이는 방향으로 확장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장애대한 부분 때문에 LB와 같이 운영하여 최소한 2대 이상으로 운영할 필요는 있습니다.